
1994년 은희는 중학교 2년생.
단짝 친구는 장난으로 물건을 같이 훔치다, 고자질하고, 배신하고, 멀어지고, 사귀던 남자아이는 의사집안 엄마가 방앗간집 딸이라고 억지로 떼어놓고 그래서 헤어지고, 좋다고 동성애 비슷한 것을 보이던 후배아이도 어느날 이유없이 멀어지고, 오빠는 툭하면 때리고 그래서 어느날 고막이 찢어지고, 언니는 비행청소년 처럼 공부와 멀어지고 남자와 몰려다니고, 방앗간을 같이 운영하는 아버지는 바람을 피우고 게다가 권위적이고 공부 잘하는 오빠 위주이고 공부 못하는 두딸은 눈에도 없고.
은희는 참 온갖 어려움속에서 살아간다. 게다가 귀아래 혹이 생겨 수술하기까지 한다. 암울한 그리고 그 통로는 계속될 듯 하던 은희에게 한 줄기 빛이 나타난다. 서울대 휴학행 한문학원 #선생님.
그녀는 말해준다.
자신을 좋아하는데는 시간이 걸린단다.
그럴때면 가만히 스스로의 마음을 들여다본다.
그리고 자문한다. 난 나를 사랑하고 있는가?
힘들고 우울할 때는 손가락을 움직여보며 신비로움을 느껴보라. 아무것도 못할것같은 내가 손가락을 움직이는 신비로움을.
그리 말하던
은희의 유일한 안식처 영지 선생님이 어느날 갑자기 학원을 그만두고 사라진다.
그런 어느날 성수대교가 무너지고 수십명의 사람이 사망했다고 보도한다.
다리의 붕괴는 인간사이의 단절,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단절, 어쩌면 수많은 인연들과의 단절을 제시하는 듯 보인다.
은희는 어느날 도착한 영지 선생의 소포를 받는다. 자신이 빌려준 책과 만화그리기 좋아하는 자신을 위한 스케치북이 들어 있었다.
은희는 소포의 주소대로 찿아간다. 거기에는 슬픈 미소를 짓는 영지선생의 어머니가 서있었다.
성수대교 붕괴시 딸도 죽었다고 흐느낀다.
은희는 힘없이 돌아와서 영지가 남긴 #편지를 읽는다.
인생을 모르겠다.
나쁜 일과 좋은 일이 같이 생기는구나.
누군가와 만나 무엇인가를 나누기도 하는구나.
세상은 신기하고 아름답다.
방학이 끝나고 만나자.
나에 관한 모든 것을 이야기해줄께.
말없이 학원 그만두어 미안.
영지 선생은 그렇게 은희와 #단절되어
머나먼 길을 떠났다.
벌새 한마리 처럼 홀로 남은 은희는 내일 또 누구를 만나게될까?
#영화는 기나긴 여운을 남기고 그렇게 끝이난다.